해시 값 비교를 통해 파일이 변조되었는지 파일의 무결성 검증이 가능함
특히 모델을 서빙할 때 모델 파일을 이동하거나 복사한 후 원본 파일과 동일한지 확인이 필요함
또는 용량이 큰 데이터를 다운 받은 후 데이터 손상여부 확인도 가능함
md5(Message-Digest algorithm 5) 알고리즘으로 sum(Check sum) 값을 계산하여 해시 값을 추출 할 수 있음
데이터가 중간에 조금이라도 변경되면 이 값이 달라짐
방법은 매우 간단하다
md5sum [파일 경로]
또는
sha1sum [파일 경로]
md5 사용 시 결점이 있어 sha1이 좀 더 안전하다는 말이 있지만 둘 중 원하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
이렇게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파일에 대한 값 생성
파일에 대한 해시 값만 생성 가능하며 폴더로 생성 시도 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
여러 꼼수가 있는데 폴더를 tar로 압축하여 tar 파일로 해시 값 생성이 가능하다
0.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tar로 묶기
tar cvf [target name].tar *
1. tar 파일 해시 값 생성
끝!
'De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파일 및 디렉토리(directory) 용량 확인하기 (0) | 2023.07.27 |
---|---|
[Linux] 압축(tar, tar.gz, tar.xz) 및 압축 풀기 (0) | 2023.07.17 |
[Linux] requirements.txt 생성하기 (0) | 2023.06.05 |
[Linux] Nvidia-Docker 설치하기 - 도커에서 TorchServe 모델 배포 (3) (0) | 2023.05.31 |
[Linux] MAR 파일 생성하기 - 도커에서 TorchServe 모델 배포 (2) (0) | 2023.05.31 |